★★04월 16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경 제》
☞美 '韓 포함 민감국가 리스트' 발효…과학·산업협력 차질 우려...한국의 총력전에도 에너지부 내부 절차 등에 따라 시행 前 해제 불발...美연구소 방문 등에 사전 신원확인 필요…포괄적 전략동맹 상징성에 타격...정부 "美에너지부와 해결위해 교섭 지속…좀더 시간 필요할 것으로 보여"
☞트럼프 車 25% 관세 부과 속에…3월 車 수출실적 역대 2위...1분기 수출액·수출량 소폭 감소…“역기저 효과·조업일수 감소”...정부, ‘자동차 생태계 강화를 위한 긴급 대응대책’ 신속 추진
☞美 관세폭풍에…정부, 반도체 투자 26조→33조원 확대...반도체 클러스터에 전력망 구축 지원…첨특단지 지원한도 500억→1000억...반도체 '소부장' 중소·중견 기업 키운다…투자보조금 최대 50% 지원
☞“명품 주얼리·시계매장 늘려라” 백화점들 이유 있는 유치경쟁...상반기 패션 카테고리 매출 줄자...반클리프·태그호이어 등 매장 확대...국내 4대 백화점은 명품 주얼리와 시계 브랜드 유치에 한창
☞한은 “정치적 불확실성 여전히 높아”…경제 위험 장기화 우려...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 이후에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계엄 선포 당시보다 높다고 지적..."원-달러 환율이 계엄 등 정치적 이유로 인해 펀더멘털보다 30원 정도 더 오른 것으로 분석한다"
《금 융》
☞美 상호관세 완화 예고에도 불안한 ‘코스피’…제한적 상승 으로 2460대...내주 한미 협상 예고에도 관세 불확실성 여전...트럼프, 자동차 부품 관세 유예 시사...현대차·기아 등 자동차주 ‘불기둥’
☞“금리 하락 전에 예적금 막차 타자”...시중에 풀린 돈, 21개월째 증가...한국은행 2025년 2월 통화 및 유동성 발표...M2 4229.5조원...2023년 6월부터 지속 상승...금리 하락 전망에 선제적 자금예치 수요 늘어
☞"6→0.5달러" 3시간 만에 90% 폭락…제2의 루나 사태 일으킨 '이 코인'...시총 20위권이었던 만트라(OM), 14일 3시간 만에 시총 7조원어치 증발...만트라 측 "팀·주요 투자자 때문은 아냐"…폭락 원인 조사 중...가격 복구안은 아직 검토 중…국내선 코인원 상장
☞‘환테크’ 기대에…달러연금보험 가입, 2년만에 3배 ‘쑥’...10년 확정금리 최대 5.35%...달러강세·비과세 등 기대효과
☞땡큐 트럼프?…월가 대형은행들, 1분기 증시서 웃었다...골드만삭스 등 주식 트레이딩 매출 사상 최대...'상호관세 변동성' 이번달도 매출 호조 전망...JP모건 다이먼, 자사주 449억원어치 매각
《기 업》
☞‘쓰레기로 수소 만든다’…현대차그룹, 인니서 수소 생태계 구축...인도네시아 W2H 수소 생태계 조성 프로젝트 계획 발표...해외서 유기성 폐기물 통해 수소 생산하는 첫 실증 사업...복토 마친 매립지서 추출한 바이오가스, 청정 수소로 변환
☞한화에어로, 폴란드 WB와 ‘천무 유도탄’ 합작법인 설립...법인 설립 위한 ‘텀시트 계약’ 체결...“폴 군비청 추가계약·유럽수출 추진”
☞에틸렌 마진 2년만에 손익분기점 턱걸이…석화업계 ‘최악의 겨울’ 지났나...이달 톤당 254달러까지 상승...원재료 나프타 가격 하락으로 마진 확대...에틸렌 마진 증가에도 불안 요소 가득...석화 시황 부진 여전…증설 움직임 지속...석화업계 스페셜티 비중 확대 속도
☞美국채는 중국 손에 든 ‘핵’...트럼프, 자기 곳간 태웠다...관세폭탄에 치솟은 美국채금리...10년물·30년물 역사적 급등세...최선호 안전자산에 치명적 상처...변덕스러운 정책에 신뢰성 잃어
☞엔비디아 "美 자체 생산 AI 슈퍼컴 만든다…700조 투자"...백악관 "미국 근로자와 경제, 국가안보에 이로운 조치" 환영'...트럼프도 "美 생산 결정은 '관세'라는 아름다운 단어 덕분"
《부 동 산》
☞공사비 오르니 '유찰'…재건축·재개발 곳곳 시공사 찾기 어려워...원자재 가격·공사비 급등에 원가율 90% 이상...건설사 선별 수주 기조 뚜렷…유찰 사례 반복...사업성 낮은 정비사업지 시공사 선정 어려워
☞국토 장관, 김포~파주 한강터널 점검…"첨단장비로 안전관리 강화"...국토부, 한강터널 등 939개 시설 집중 안전점검
☞잠삼대청 토허제 일시 해제에…집값 '쑥'...한국부동산원 3월 전국주택가격동향조사...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 영향, 서울 집값 상승...전·월세도 올라…"학군지·재건축 단지 수요 많아"
☞오피스텔, 월세는 오르고 매매·전세는 하락...한국부동산원, 2025년 1분기 오피스텔 가격동향..."신학기 개강 영향으로 소형 오피스텔 수요 늘어"
☞상위 1% 부자 평균자산 60억… 자산 79%가 부동산...전체 가구 부동산 평균은 70%...상위 1% 금융자산은 11.4억원...81%가 투자에 부채 적극 활용...평균 부채 7억… 자산의 11%
《사 회》
☞서울에 땅꺼짐 주범 '노후 하수관' 55%... 30%는 50년 넘은 '초고령'...50년 이상 비중 종로구 53.5%...노후 하수관 싱크홀 주된 원인이지만, 교체에 막대한 예산 들어 '지지부진'
☞2027년부터 수능 모의 평가 8월에 본다…대입 가늠 중요도↑...모의평가가 9월이 아닌 8월에...15일 '2028학년도 하반기 수능 모의평가 일정 변경안'을 발표
☞‘계엄 문건’ 사칭 이메일, 알고보니 北 소행…해킹 수법 고도화...해킹 메일 1.7만명 발송…120명 피해...게엄 문건부터 세금 환급 등 방식 다양...포구·페지 등 북한식 IT용어 다수 발견...수작업 발송에서 자동화로…수법 발전
☞'답답하다'며 비상문 강제개방... 제주공항서 202명 2시간 갇혀...출발 직전 탑승객이 비상문 열어... 30대 승객 항공보안법 위반 현행범 체포
☞"의정 갈등에 군대 택한 의대생 1900명…공보의 대신 현역 입대"...의정 갈등 기간 중 입대한 의대생 10배 증가...공보의협 “공보의제 존속 위한 대책 필요”
《국 제》
☞美재무 “한국과 다음주 협상…먼저 협상한 국가가 유리”...“가장 중요한 교역국엔 트럼프 직접 참여”...“일본과 16일 협상…동맹 이점 있을 것”...경제부총리 주재 경제안보장관회의 신설...산업 2차관, ‘알래스카 LNG’ 출장 예정
☞"트럼프 못믿어서"…美 가는 EU관리들 '일회용 휴대폰' 쓴다...FT "美 출장단에 특수 보안용 파우치에 휴대폰 보관 등 지침"...EU 집행위 시스템 침투 우려…"중·러 대상 조치와 같은 수준"
☞트럼프 "美서 만들려면 시간 필요"…車부품 관세 추가 면제 시사...시진핑, 베트남 방문에 "어떻게 하면 미국 망치게 할까 파악하는 차원"...스마트폰 등 관세 예외 질문에 "마음 안바뀌었으나 어쩌면 뭔가 나올수도"
☞트럼프 보좌진, 푸틴 강경 대응 촉구...우크라 종전 기한 임박...루비오 등 일부 고관들, 트럼프에게 푸틴의 종전 의지 과대평가 말라고 조언...부분 휴전 가운데 민간인 공격 등 교전 지속, 푸틴 회의론 증폭...이달 30일이면 트럼프가 약속했던 우크라 종전 기한 마감...트럼프는 이 와중에 여전히 푸틴 감싸
☞'12조' 보조금 끊길 판…트럼프에 맞선 하버드대 '날벼락'...트럼프 反유대주의 근절 요구 거부한 하버드대...'3조 규모' 보조금 동결됐다...하버드대 "독립성 훼손 안될 말"...미국 정부 몇시간만에 보조금 동결
댓글
해외선물 정보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뉴욕증시, 美상호관세 충격에 '패닉'…5년만에 최악의 날(종합)

캐나다 "美자동차에 25% 맞불…美시대 끝났다" [트럼프 관세]
![캐나다 "美자동차에 25% 맞불…美시대 끝났다" [트럼프 관세]](https://img1.newsis.com/2025/04/04/NISI20250404_0000229975_web.jpg?rnd=20250404072657?thumbna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