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4/01 나스닥, ‘상호 관세’ 불안 여파로 큰 폭 하락 후 분기말 수급 영향으로 약보합 마감
04/01 나스닥, ‘상호 관세’ 불안 여파로 큰 폭 하락 후 분기말 수급 영향으로 약보합 마감
미 증시는 트럼프의 ‘상호관세’가 더 공격적이고 광범위한 수준으로 발표될 것이라는 소식에 나스닥이 2.7% 하락하기도 했음. 이는 관세로 인한 경기에 대한 불안을 자극한 데 따른 것으로 추정. 그렇지만, 분기말 수급적인 요인을 토대로 반발 매수세가 유입되며 낙폭을 축소하거나 상승 전환에 성공. 특히 S&P500이 6개월 최저치를 기록 후 상승 전환에 성공. 그러나 경기침체, 높은 인플레 등으로 장중 변동성 확대는 지속(다우 +1.00%, 나스닥 -0.14%, S&P500 +0.55%, 러셀2000 -0.56%,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0.34%)
*변화요인: 상호관세와 경제, 변동성 확대
지난 주말 4월 2일 발표되는 트럼프의 ‘상호 관세’에서 시장이 예상(9% 내외)과 달리 20% 내외 관세 인상이라는 더 공격적이고, 더 광범위한 국가들에 관세를 부과할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짐. 더불어 중국에 대한 추가 관세, EU에 대한 제품별 관세, 멕시코, 캐나다에 대한 일부 완화 등이 발표될 수 있다는 기대가 약화됐다는 평가도 부각.
특히 트럼프가 자동차 관세 부과 후 자동차 회사들에게 ‘가격 인상을 하지 말라고 경고’ 한 점은 주목할 필요가 있음. 관세가 기업들의 가격 인상을 촉발하고 이로 인해 물가 상승과 금리 상승을 자극할 수 있음을 보여줬기 때문. 이는 미국의 소비 둔화를 촉발해 경기 침체 이슈를 자극하며 금융시장 전반에 영향. 그렇지만, 시장은 여전히 긍정적. 이번 ‘상호 관세’가 종료가 아닌 협상의 시작이고 이를 토대로 발표 내용은 공격적이지만, 결국은 온건하게 전환될 수 있다고 기대하고 있기 때문
한편, 미국 기업들은 관세 이슈에 대한 대응으로 공급망 전환, FX 헤징, 특히 가격 결정력을 언급하며 이를 넘어서겠다는 발표가 급증. 가격 결정력은 연준이 최근 보고서를 통해 언급했듯 소비재의 경우는 기업에서 소비자로 전환했기에 가격 인상은 제한되겠지만, 산업재 등을 중심으로 가격 인상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 최근 S&P500의 기업이익 전망이 하향 조정되고 있는 가운데 가격 결정력도 일부 산업에 국한돼 있어, 관세가 경기에 대한 불안과 기업이익 하향 조정 폭의 확대를 촉발할 수 있음을 보여줌.
이 결과 지수 옵션을 바탕으로 4월 주식시장은 관세 부과 내용, 보복 관세 여부, 경제지표, 연준위원들의 발언 그리고 수급적인 요인 등으로 매일 1%대 등락을 보일 것으로 예상하는 등 변동성 확대는 불가피. 오늘 시장도 장 초반 급락 후 되돌림이 강하게 유입된 이유는 뚜렷하게 없었으며, 분기말 수급적인 요인 등에 따른 것으로 추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