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선카페

[4/14,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피해 복구 작업"

1
홍콩
2025.04.14 추천 0 조회수 1740 댓글 0
공유

[4/14, Kiwoom Weekly, 키움 전략 한지영]

"관세 피해 복구 작업"

-------

<Weekly Three Points>

a. 지난 금요일 미국 증시는 중국의 보복관세 발표, 스태그플레이션 우려로 하락 출발했으나, 관세 전쟁 완화 가능성, 연준의 개입 기대감, JP모건(+4.0%) 호실적 등으로 반등에 성공(다우 +1.6%, S&P500 +1.8%, 나스닥 +2.1%).

b. 주말 중 전해진 반도체 품목에 대한 관세 예외 적용을 둘러싼 혼선이 발생 중에 있지만, 이미 증시는 4월 이후 극심한 주가 조정을 겪는 과정에서 관세 리스크를 반영해오고 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

c. 이번주에도 관세 뉴스 플로우는 시장에 멤돌겠지만, 파월 의장의 발언, 골드만삭스, ASML, TSMC 등 주요 기업 실적,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주요 하드 데이터 결과 등을 중립 이상으로 소화하면서 관세 피해 복원 구간에 돌입할 전망

-------

0.

한국 증시는 1) 관세 불안 피크아웃 기대 vs 노이즈 재확산 우려 속 2) 미국과 중국의 소매판매, 산업생산 등 실물 지표, 3) 파월 의장 발언, 4) 한은 금통위, ECB 회의, 5) 골드만삭스, 넷플릭스, TSMC, ASML 등 주요 기업 실적 이벤트 등에 영향 받으면서 주가 회복에 나설 전망(주간 코스피 예상 레인지 2,380~2,510pt).

1.

중국은 미국의 145% 관세 부과에 대미 관세율을 기존 84%에서 125%로 인상하는 보복 조치 결정하는 등 양국 관세 전쟁은 극단을 향해가는 실정.

하지만 중국 측은 이제부터는 고관세율이 의미가 없으며 미국이 추가로 인상한다고 하더라도 대응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히면서, 협상 의지를 우회적으로 드러낸 모습.

백악관 측에서도 중국과 협상은 낙관적일 것이며, 트럼프도 보편관세 10%는 하한선이지만 예외는 둘 것이라고 언급하는 등 이전에 비해 공격적인 관세 행보의 수위를 낮춰가고 있다는 점도 마찬가지.

2.

이처럼 트럼프가 촉발한 관세 리스크의 피크아웃 전망에 무게중심이 실리고 있다는 점은 다행 요인.

그 가운데, 11일 미 관세국경보호국에서는 스마트폰, 노트북, HDD 등 반도체 품목에 대한 상호관세 및 보편관세를 제외하겠다고 발표한 점이 눈에 띄는 부분.

하지만 13일 중 트럼프와 하워드 러트닉의 발언을 종합해보면, 이번 조치는 1~2개월간 일시적으로 유예하는 것이며, 자동차처럼 개별 관세로 부과될 것으로 보는 것이 타당.

트럼프가 14일 중 반도체 관세에 관한 구체적인 답변을 주겠다고 언급한 만큼, 주 중에도 주식시장은 관세 뉴스의 민감도를 높게 가져갈 전망.

다만, 기존대로 중국산 반도체 관련 품목에 100% 넘는 관세를 적용 받을 시, 애플, 삼성전자 등 IT 업종 수익성 악화, 소비자 구매력 급감이 불가피했지만, 추후 예상되는 개별 관세는 이보다 낮을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

4월 이후 주요국 증시가 역대 급의 주가 폭락을 겪으면서, 예상 가능한 관세 리스크의 상당부분을 소화 해왔기에, 추후 관세 발 지수 레벨 다운 압력은 제한될 전망. 

3.

16일 예정된 파월 의장 발언도 중요한 이벤트.

지난 4일에는 상황을 지켜보겠다는 신중한 입장을 표명했지만, 그 이후 증시 급락, 채권금리 폭등과 같이 금융시장 혼란을 그 역시 목도한 상황.

따라서, 이전보다 시장 친화적인 입장으로 선회할지 여부에도 시장의 관심이 집중될 것.

외환 측면에서는 달러 인덱스가 2023년 7월 이후 처음으로 100pt를 하회하면서 역외 달러/원 환율이 1,420원 이하로 레벨 다운됐다는 점도 눈여겨볼 부문.

안전자산 선호심리 국면에서도 “달러화 기피”라는 이례적인 현상이 나타난 점도 시장의 또 다른 고민거리를 제공하고 있기 때문.

이렇게 달러의 향방에 불확실성이 높아졌다는 점을 고려 시, 한은 금통위(금리 동결 컨센), ECB 회의(금리인하 컨센) 등 여타 중앙은행 회의를 치르면서 원화, 유로화 등 주요 통화들의 일시적인 가격 변동성이 높아질 수 있음에 대비할 필요.

4.

한편, 주식시장 내에서는 관세로 인한 수요의 불확실성으로 이익 전망의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1분기 실적시즌에 대한 시장의 기대치를 낮추고 있는 실정.

이런 측면에서 실물 경기 변화를 가늠할 수 있는 골드만삭스, 반도체 업황 전반의 분위기를 파악할 수 있는 TSMC, ASML 실적 등을 통해 이익 추정의 신뢰성을 복구해 나갈지도 관건이 될 전망.

https://www.kiwoom.com/h/invest/research/VMarketSWDetailView?sqno=728

댓글

해외선물 정보

공지

해선 라이브 포인트 제도

M
관리자
조회수 171369
추천 0
2024.09.27

2025년 4월 15일 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1037
추천 0
2025.04.15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매-세-지, 4월 15일)

1
항셍왕
조회수 2853
추천 0
2025.04.15

★★04월 15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1909
추천 0
2025.04.15

"美 관세정책, K-배터리엔 기회…북미 ESS 배터리 생산해야"

1
항셍왕
조회수 2880
추천 0
2025.04.15

홍콩서 글로벌 IB 만난 이복현 “공매도 재개는 韓 회복력에 대한 자신감”

1
항셍왕
조회수 1779
추천 0
2025.04.15

<미래에셋증권 서상영> 04/15 미 증시, 채권 시장 안정에 힘입어 상승 후 장 마감 직전 변동성 확대

1
홍콩
조회수 4541
추천 0
2025.04.15

🗓 4월 15일(화) 경제 캘린더

1
홍콩
조회수 3609
추천 0
2025.04.15

안녕하세요, 대신증권 FICC리서치부에서 시황/전략을 담당하고 있는 이경민입니다.

1
홍콩
조회수 2448
추천 0
2025.04.15

[4/15 (화), 미래에셋증권 퀀트 Daily] 실적 컨센서스 변화 및 속도로 본 이익모멘텀

1
홍콩
조회수 4037
추천 0
2025.04.15

월러 이사의 비둘기 발언 요약

1
홍콩
조회수 2570
추천 0
2025.04.15

[뉴욕증시 상승]

1
홍콩
조회수 3462
추천 0
2025.04.15

[04월 14일 국내 증시 마감시황]

1
홍콩
조회수 2586
추천 0
2025.04.14

2025년 4월 14일 월요일, 신문을 통해 알게 된 것들

1
항셍왕
조회수 1815
추천 0
2025.04.14

매경이 전하는 세상의 지식(매-세-지, 4월 14일)

1
항셍왕
조회수 3071
추천 0
2025.04.14

★★04월 14일 주요신문 헤드라인★★

1
항셍왕
조회수 3265
추천 0
2025.04.14
1 2 3 4 5
/upload/d164900544c84ec3b4438add16e3c8ca.webp
/upload/8201f09f1b6e45ed8795751ad6ed884a.webp
공지사항 해외선물 정보 자유게시판 먹튀업체 제보